전체 글
[스프링 핵심 원리] 의존관계 자동 주입 (1)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
[스프링 핵심 원리]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는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의 등을 통해서 설정 정보(AppConfig.class)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예제에서는 몇개가 안되었지만, 이렇게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 수백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도 귀찮고, 설정 정보도 커지고, 누락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래서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Component @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는 @ComponentScan에 의해 스캔되어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된다. @ComponentScan @Comp..
Cannot resolve symbol 'springframework' 문제해결 - Intellij
오랜만에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들어갔는데 이런 오류가 떠있었다. 해결방법 Gradle을 Refresh 시켰더니 해결되었다. view - Tool Windows - Gradle 해당 프로젝트 - Refresh Gradle Dependencies
![[스프링 핵심 원리] 싱글톤 컨테이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d9vV%2FbtrCFOP3pDf%2FYg7nHh3eK8nQpdgOVXFl11%2Fimg.png)
[스프링 핵심 원리] 싱글톤 컨테이너
싱글톤 패턴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그래서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싱글톤 패턴 문제점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코드 자체가 많이 들어간다.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한다. DIP를 위반한다.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해서 OCP 원칙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 테스트하기 어렵다.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기화하기 어렵다. private 생성자로 자식 클래스를 만들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진다. 안티패턴으로 불리기도 한다.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
![[스프링 핵심 원리]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xWD7M%2FbtrB59tQRzA%2FW1R33AmmEO3BKtmbfat741%2Fimg.png)
[스프링 핵심 원리]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만들 수 있다. 직전에 AppConfig를 사용했던 방식이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든 것이다.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이다.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
[스프링 핵심 원리]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 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 한다.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Bean public void test(){} 의 빈 이름은 test) 이전에는 개발자가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 한다.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백준 2751번 : 수 정렬하기2
https://www.acmicpc.net/problem/2751 문제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문제 풀이 및 코드 처음 풀 땐 정렬알고리즘을 버블정렬만 알고있어 풀지 못하다가 6개월이 지나고 정렬을 배운 후 재도전했다. 문제 옆에 O(nlogn) 정렬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풀린다하여서 처음에 퀵정렬을 이용해 제출하였지만 시간초과가 났다. 이유는 퀵정렬의 최악의 경우 빅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