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딍코딍
코딩기록
코딍코딍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71)
    • 개발 (2)
    • Java (1)
    • 스프링 (28)
    • JPA (11)
    • Git (3)
    • 알고리즘 (160)
      • 백준 (132)
      • 프로그래머스 (8)
      • SWEA (20)
    • 토이 프로젝트 (14)
      • 간단한 Springboot CRUD (1)
      • 게시판 프로젝트 (13)
    • 알고리즘 개념정리 (8)
    • 오류 해결 (13)
    • 보류 (0)
    • AWS (5)
    • 트러블 슈팅 (0)
    • 회고 (3)
    • CS (4)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코딍코딍

코딩기록

스프링

[스프링 핵심 원리]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2022. 5. 13. 21:20

스프링 컨테이너

  •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 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 한다.
  •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Bean public void test(){} 의 빈 이름은 test)
  • 이전에는 개발자가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 한다.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를 사용해서 찾을 수 있다.

 

//MemberApp.class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후 AppConfig 클래스의 @Bean붙은 메서드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가져올 빈 이름, 해당 빈의 타입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핵심 원리] 의존관계 자동 주입 (2)  (0) 2022.06.18
[스프링 핵심 원리] 의존관계 자동 주입 (1)  (0) 2022.06.17
[스프링 핵심 원리] 컴포넌트 스캔  (0) 2022.05.21
[스프링 핵심 원리] 싱글톤 컨테이너  (0) 2022.05.20
[스프링 핵심 원리]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0) 2022.05.14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프링 핵심 원리] 의존관계 자동 주입 (1)
    • [스프링 핵심 원리] 컴포넌트 스캔
    • [스프링 핵심 원리] 싱글톤 컨테이너
    • [스프링 핵심 원리]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코딍코딍
    코딍코딍
    ㅎ2

    티스토리툴바